어린 나이에 창업했기 때문일까, 내 주변엔 창업한 친구가 없었고 난 아무런 노하우 없이 맨땅에 헤딩하며 사업을 시작했다.
이번 포스팅에서는 맨땅에 헤딩하지 않으려면 꼭 알아야 하는 주요 정부지원사업 3가지를 다룰 것이다.
예비창업패키지, 정부지원사업의 첫 번째 단계
흔히들 출신이라는 말을 쓴다. 특목고 출신, 서울대 출신, 육군사관학교 출신 등, 이런 수식어를 달기 위해 우리는 어릴 때부터 치열하게 경쟁한다. 스타트업에도 이런 수식어들이 있다. 그 중 첫 번째 수식어는 예비창업패키지다.
예비창업패키지, 줄여서 예창패라고도 하는 이 지원사업은 대상자로 선정된 스타트업에 최대 1억 원의 지원금과 창업 교육, 멘토링을 지원해준다. 또한, 예창패 수행기업은 '예창패 출신'이라는 수식어가 붙어 팀원을 구할 때나 정부지원사업을 신청할 때 이점으로 작용할 수도 있다. 시장선점이 중요한 스타트업에 이런 지원이 있고 없고는 성장 속도에 분명한 차이가 있으리라 생각한다. 예창패 수행기업은 추후 보통 상, 하반기에 한 번씩 공고가 나오기 때문에 창업을 고민 중이라면 지원해보길 바란다.
이것만은 알고 가자
이미 사업자 등록을 한 경우 예창패에 지원할 수 없다. 나는 1,500만 원을 지원해주는 '성남시 두런두런' 지원사업을 받고 사업자 등록을 했기 때문에 예창패에 지원할 수 없었다. 아쉽지만 정부지원사업의 꽃이라고 불리는 초기창업패키지와 청년창업사관학교를 지원하기로 했다.
창업진흥원
창업진흥원
www.kised.or.kr
초기창업패키지, 떨어지면 또 지원하면 되지
초창패라고도 불리는 이 지원사업은 3년 미만의 창업기업에 최대 1억 원의 사업자금 및 맞춤형 창업 교육을 지원해준다. 예비창업패키지를 수행한 뒤 이어서 신청하면 좋은 지원사업 중 하나다. 초기창업패키지는 다른 사업화 프로그램보다 기업 모집 횟수가 많은데, 1년에 3번 모집하기 때문에 한 번 떨어져도 재도전하기가 용이하다.
이것만은 알고 가자
중기부 창업사업화지원사업 중 초기창업패키지와 중복하여 받을 수 없는 지원사업이 있다. 초기창업패키지를 지원할 예정이면 공고문에 있는 지원 제외 사업 목록을 확인할 필요가 있다. 특히 다음으로 소개해 드릴 청년창업사관학교와는 둘 중 한 개의 사업만 수행할 수 있다
창업진흥원
창업진흥원
www.kised.or.kr
청년창업사관학교, 후속 지원의 끝판왕
토스, 직방, 아이디어스를 배출한 청년창업사관학교는 초창패와 마찬가지로 3년 미만의 창업기업에 최대 1억 원의 사업자금과 각종 창업 교육을 지원한다. 청창사라고도 불리는 이 지원사업은 1년에 한 번 모집하기 때문에 지원 시기를 놓치지 않게 미리 준비하는 것이 중요하다. 예비창업패키지를 수행한 후 신청하면 좋은 지원사업 중 하나다. 청년창업사관학교는 특화 분야에 대한 시설 및 기술지원이 잘 갖춰져 있으며 청창사 출신 간 네트워킹이 활발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.
이것만은 알고 가자
초기창업패키지와 마찬가지로 중기부 창업사업화지원사업과는 중복하여 받을 수 없으며. 초기창업패키지와도 중복 수행은 할 수 없지만, 신청은 둘 다 할 수 있으니 지원하고 합격한 사업을 수행하는 것도 방법이다. 또한 청년창업사관학교를 수행하고 나면 '추가과정' 선발을 통해 최대 1억 원의 지원금을 또 받을 수도 있다.
KOSME 청년창업사관학교
start.kosmes.or.kr
정부지원사업은 양날의 검이라는 말이 있다. 지원사업을 수행하다 보면 내 사업은 하지 않고 지원사업만 하고 있다고 느낄 때가 있다. 그만큼 처리해야 할 서류 작업이 많다. 하지만, 무자본으로 창업을 하려는 사람들은 예비창업패키지부터 순차적으로 지원을 받는 것을 추천한다.
아래는 정부지원사업 모집공고를 확인할 수 있는 K-startup 사이트다. 웬만한 지원사업 모집공고는 여기서 확인 할 수 있다.
K-Startup 창업지원포털
중소벤처기업부 운영 창업지원포털 창업지원사업 정보 통합·제공 및 온라인창업교육, 창업공간정보, 온라인법인설립 서비스 제공
www.k-startup.go.kr
1. 창업기업지원서비스 바우처 : 세무/회계/기술보호 분야에 1년 최대 100만 원의 지원금이 나오며, 기장 대리비도 지원 받을 수 있다.
2. 데이터바우처 : 데이터 구매, 가공 지원금을 최대 7,000만 원까지 지원해준다. 데이터 확보를 통해 빅데이터의 시장에 뛰어드는건 어떤가.
3. 디딤돌 R&D : 연구개발비로 최대 1.5억 원을 지원해주기 때문에 플랫폼 및 기술 창업 분야는 관심을 가져야 한다.
4. 창업도약패키지 : 창업 3~7년 미만 기업에 최대 3억 원을 지원해주며, 초창패 혹은 청창사 수행 후에 지원하면 좋을 것이다.
'기타 > 창업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창업] 외주개발 맡겼다가 사업 망할뻔한 이유 (9) | 2021.07.21 |
---|---|
사업을 시작한 이유 (feat. 사업을 못 멈추는 이유) (2) | 2021.07.16 |
[창업] 외주개발과 자체개발 중 고민이라면 (나만의 웹사이트, 앱 만들기) (6) | 2021.07.14 |
청년 CEO의 무지성 사업 2편 (데이터바우처, 창업경진대회, 자체 개발) (2) | 2021.07.02 |
청년 CEO의 무지성 사업 1편 (정부지원사업, 사업자등록, 외주개발) (0) | 2021.07.02 |